문재인 정부 "생계지원안 신속 결론"…내주 현금지급 결정 가능성
박상종 | 입력 : 2020/03/26 [15:38]
▲2차 비상경제회의 모두발언 말미에 "3차 회의서 결론"
▲재난기본소득 등 현금성 지원 정책 3가지 조건 중 '국민 수용도' 관건
문재인 대통령이 비상경제회의에서 긴급재난생활비 지원에 대한 발표를 하고 있다.
|
문재인 대통령이 24일 내주에 열릴 3차 비상경제회의에서 "실효성 있는 생계지원 방안에 대해 재정소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속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해 주길 바란다"고 당부해 관심이 쏠린다.
특히 도입 여부를 두고 찬반 양론이 있었던 재난기본소득 등 현금성 지원 정책에 대한 결론을 내릴지 주목된다.
문 대통령은 이날 2차 비상경제회의 모두발언 막바지에 이같이 말한 뒤 "코로나19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는 국민"이라며 "국민의 삶을 지키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신속하고 분명하게 보여주기 바란다"고 밝혔다.
관심이 집중되는 부분은 문 대통령의 '생계지원 방안' 언급이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 방안을 의미하느냐다.
문 대통령이 이어서 '국민'을 거론한 것으로 볼 때 "국민의 삶이 무너지는 것을 막는 것이 최우선"이라고 했던 지난 1차 비상경제회의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것이라는 관측이 우선 제기된다.
그러나 일각에선 1차 회의에서 "조속한 시일 내에 실효성 있는 '취약계층' 지원 방안이 논의될 수 있도록 준비해 달라"고 지원 대상을 특정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날 언급은 결이 다른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.
이와 관련,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"오늘 재난기본소득과 관련한 논의는 없었다"고 선을 그었다.
그간 청와대는 재난기본소득 등 현금성 지원 정책 도입과 관련해 Δ국내외 경제상황 Δ지방자치단체의 노력 Δ국민 수용도 등 3가지 조건에 따라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여 왔다.
이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김경수 경남도지사 등이 국민들에게 일정액(100만원)을 지급하는 재난기본소득 도입을 주장하고, 박원순 서울시장이 저소득층 등 일부 계층에 대해 지원하는 '재난긴급생활비' 지급을 촉구하는 상황에서 나온 입장이었다.
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서울시청을 찾아 '코로나19 수도권 방역 대책회의'를 주재한 자리에서 박 시장과 이 지사로부터 각각 재난긴급생활비 지급과 재난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건의를 받고, "어떤 형태로라도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중요하다"며 결론을 내지 않고 정부와 지자체간 향후 논의할 과제로 남겨뒀었다.
 |
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. (청와대 제공)
|
<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>
|
현재로선 청와대가 내걸었던 3가지 조건 중에서 2가지는 어느 정도 충족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.
먼저 국내외 경제상황은 전례없는 위기 상태로 치닫고 있다. 문 대통령도 이날 회의에서 "세계경제가 위기다. 끝이 언제인지 가늠하기가 어렵다.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받는 타격이 매우 크다. 특히 생산과 투자의 주체로서 우리 경제의 근간인 기업이 큰 위기에 직면해있다"고 진단했다.
이에 더해 지자체의 노력과 관련해선 이미 정부는 지난 21일 17개 시·도가 보유하고 있는 재난 관련 기금 중 최대 3조8000억원까지 쓸 수 있도록 했고, 각 지자체 별로는 현금성 지원 정책에 나선 상태다.
대표적으로 서울시는 최근 저소득층 근로자와 영세 자영업자, 아르바이트생 등 비전형 근로자 등이 포함된 중위소득 100% 이하 117만7000가구에 30만~50만원씩 재난긴급생활비 지원에 돌입했고, 경기도는 4월부터 도민 1인당 10만원씩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했다.
관건은 마지막 조건인 '국민 수용도'가 될 것으로 보인다. 아직까진 찬반 양론이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지만, 재난기본소득 등 현금성 지원 정책과 관련해선 점차 찬성론이 높아지는 추세다. 다만, 아직까진 전 국민 대상보단 소득 중하위 가구 등 선별 지원에 무게가 실려 있는 흐름이다.
지난 20~21일 실시된 엠브레인퍼블릭의 조사(전국 18세 이상 1011명, 표본오차 95% 신뢰수준에 ±3.1%p, 응답률 20.2%)에선 코로나19 관련 '재난 긴급 생활지원비'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, 재난 긴급 생활지원비 지급에 찬성하는 응답은 83.8%에 달했고, ‘반대한다’는 응답은 14.5%에 그쳤다.
지원 대상과 관련해선 '서민과 영세사업자 등 취약계층에만 재난 긴급 생활지원비를 지급해야 한다'는 응답이 57.1%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고, '모든 국민에게 지급해야 한다'는 응답은 26.7%에 머물렀다.(여론조사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)
때문에 정치권에선 국민 수용도에 대해 청와대가 어떻게 판단하느냐가 현금성 지원 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정하는데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점쳐진다.
다만, 문 대통령이 생계지원 방안에 대한 결론을 내주에 열린 ‘3차 비상경제회의’로 지정한 만큼 이르면 금주 내 청와대와 정부 내부에서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. 문 대통령이 '재정 소요'를 거론한 만큼 아직까진 선별지원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.
한 정부 관계자는 "검토는 모든 것을 테이블 위에 놓고 한다. 아직은 내부 의견이 팽팽한 상황"이라며 "다만 이번주 중에는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"고 말했다. news1
<저작권자 ⓒ 뉴욕시티앤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|